study/android
-
[부스트코스] 08. 액티비티 수명 주기study/android 2020. 3. 20. 17:04
# 액티비티란? UI 구성을 위한 기본 요소로,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 # 액티비티 수명주기(Life Cycle)란? - 액티비티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상황에 맞는 메소드를 자동으로 호출하도록 상태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게 함 - 여러 개의 액티비티를 이용할 때 - 상태를 제어함 - 기본적인 안드로이드 화면은 "가리기"이다. # 액티비티 상태 - 콜백 메소드를 통해 상태를 수발신 - 상태 메소드가 있어 메소드 재정의를 통해 상태마다 개발자가 원하는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음 ~종류~ 1. 실행 Running 화면 상 액티비티가 보이면서 실행되어 있는 상태. 액티비티 스택의 최상위에 위치, 포커스를 가지고 있음 2. 일시 중지 Paused 사용자에게 보이기는 하지만 다른 액티비티가 ..
-
[부스트코스] 07. 화면 간 전환 : Intentstudy/android 2020. 3. 13. 02:17
화면을 여러 개 만들어 전환하는 법을 이해한다!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?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관리한다. 직접 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라고 한다. 구성 요소에는 액티비티, 서비스, 브로드캐스트 수신자, 내용 제공자가 있다. 시스템에서 관리한다는 것은 이 구성 요소 중 하나를 만들면 시스템이 알게 된다. 구성 요소 추가시 Manifest.xml 를 통해 그 정보를 확인한다. 해당 파일에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넣어주어야 한다. - 액티비티 : 화면! - 서비스 : 화면은 없지만, 기능이 동작하는 것 - 브로드캐스트 수신자 : 예를 들어 문자를 받았을 때 문자를 어디에서 사용할지 모르지만 이 정보를 던져준다. 이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것이 수신자! 내용 제공자 : 예를 들어 갤러리에서의 사..
-
[부스트코스] 05. 안드로이드 인플레이션study/android 2020. 2. 28. 21:42
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이해하는 단계이다. 인플레이션 : xml 레이아웃에 정의된 내용이 메모리에 객체화 되는 과정 안드로이드 화면 하나는 xml을 화면에 보이기 위한 코드, java는 사용자의 동작을 유도하는 코드 두 가지로 이루어져있다. 자바 파일에서 xml을 연결시켜 하나의 activity를 만든다. 이때 setContentView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xml파일을 지정하면 된다. 뷰 객체를 메모리에 만들어 실제 앱이 구동되도록 한다. #레이아웃 인플레이터 setContentView() : 화면에 나타낼 뷰를 지정, 메모리상에 객체화하는 역할 LAYOUT_INFLATER_SERVICE를 통해 직접 객체화가 가능하다. 버튼과 같은 뷰가 아닌 레이아웃을 상속해 만든 뷰는 배치가 필요해 레이아웃을 설정하..
-
[부스트코스] 04. 드로어블 : 상태 드로어블, 쉐이프 드로어블study/android 2020. 2. 20. 23:32
#드로어블 : 뷰에서 설정할 수 있는 객체 - 그래픽이 어떻게 그려질지 정의할 수 있다 - 그림, 소스코드나 XML로 주로 만듦 1. 비트맵_ : 이미지 파일을 보임 2. 상태_ : 상태별로 다른 그래픽 참조 3. 전환_ : 두 개의 드로어블 간 바뀌도록 함 4. 쉐이프_ : 색상을 포함한 도형 모양 정의 # 상태 드로어블 : 뷰 상태를 지정하여 어떤 그래픽을 보일지 제한할 수 있음 - 태그를 통해 상태 지정 - 상태를 지정하지 안흥면 default로 현재 drawble에 지정되어있는 이미지가 보임 # 쉐이프 드로어블 : XML로 도형을 그릴 수 있음 - 해당 view 에 background 속성에 "@drawble/~~.xml"로 지정하면 만든 도형이 보임 - shape을 지정하면 도형이 자동 지정됨 ..
-
[부스트코스] 03. 안드로이드 화면 기본 요소 : 레이아웃 (Layout)study/android 2020. 2. 14. 01:09
레이아웃 : 뷰들을 배치하는 뷰 그룹 1. 제약 레이아웃(Constraint Layout): 제약 조건이 있는 레이아웃, 연결선으로 연결한다. - 뷰 제어 1. 핸들 : 크기 조정 2. 앵커 포인트 : 연결선 만들기 - 제약 조건인 연결선을 제어 하여 정렬한다. 2. 리니어 레이아웃 (Linear Layout) : box 모델 형태로, 한 방향으로 정렬한다. - 뷰 제어 1. 방향 속성(orientation) 지정 : Horizontal or Vertical - width와 height 제어 필요 - 속성 1. layout_gravity : 뷰 자체를 정렬 2. gravity : 내용물 정렬 3. layout_weight : 해당 숫자만큼의 비율 부과하여 공간 분할 3. 상대 레이아웃 : 제약과 유사하지..
-
[부스트코스] 02. 안드로이드 화면 기본 구성 : 뷰 (View)study/android 2020. 2. 3. 21:12
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위해선 화면부터 시작하게 된다. 안드로이드 앱의 화면 구성은 뷰 (View)와 뷰그룹 (View 그룹)으로 이루어져 있다. 뷰란? 안드로이드 앱 화면에 들어가는 모든 것을 지칭 즉, 안드로이드 화면 구성 요소이다. 이 뷰들을 묶어놓은 것을 뷰 그룹 (View Group)이라고 하는데, 뷰 그룹은 뷰를 상속하여 뷰가 되기도 한다. 뷰 중 눈에 보이는 것(텍스트, 버튼 등)을 위젯 혹은 컨트롤이라고 부른다. 뷰를 담고 있는 그릇과 같은 뷰 그룹은 갖고 있는 뷰들을 배치할 수 있는데, 이를 레이아웃이라고 할 수 있다. 레이아웃은 영역을 나누어서 구성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. 상속 자바의 기초! 메소드, 변수들을 이용해 기능들을 구현한다. 안드로이드 앱 제작 환경 중 MainAct..